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이데거 9, 왜 다자인인가?

by 금융스토리 2022. 4. 23.
반응형

다자인의 존재가 문제가 된다는 것은 부분적으로, 이 존재가 '각각의 경우 나의 것'이라는 사실에 달려 있다. 그 다신은 개인적인 대명사'나'나 '너'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단지 현재의 존재일 뿐이고 따라서 적절하게'나'또는'너'로 취급되지 않는 실체의 존재는 그들에게 무관심한 문제이다. 그들은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책임 질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이 조금이라도 되려면 확실한 '무엇'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이 무엇이 되든 간에 '다제인이 가능하다'고 결심하는 것이다.(BT, 42). 다자인은 두가지 측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온톨로지를 위반해요. 첫째로, 그것은 본질적인 성질과 성질을 가진 물질이나 '사고'가 아니다. 둘째, Dasein의 잠재력 또는 가능성은 실제보다 앞선다. 다자인은 확실한 실제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존재의 가능성이다.

죽느냐 사느냐, 그게 문제로다

우리는 당연히 햄릿을 생각한다. 다자인은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이다. 하지만 햄릿은 인간이 되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는 어떤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왜 그것은 '탁자, 집, 나무'와 같은 결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그렇지 않을지를 결정하는 이 능력과는 별개로 어떤 추가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어떤 것도 오로지 그 능력 안에서만 구성될 수 없으며, 그것이 그것의 유일한 특징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구성할 수 없다. 게다가, 인간은 그렇게 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무제한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것은 죽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태어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고, 다른 상황이 아닌 한 상황에서 태어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하이데거가 말한 것처럼 그것은 세상에 던져지거나 던져지는 것이다. 그러나 일단 Dasein이 던져지면 그것은 자살의 선택이 아니라 그 자신의 존재를 더 통제할 수 있다.(Heidegger는 BT에서의 자살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xx.439년 그는 그것을 죽음의 가능성에 대한 부적절하거나'거짓'의 반응으로 여긴다.) 내가 결정하는 것은 되느냐 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되느냐이다. 여기서는 ' 있는 그대로','태도, 모드 또는 존재 방식'과 같은 표현을 다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한 기업이 오직 하나의 존재 방식만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왔지만, 이제 우리는 다진의 존재 방식이 여러가지 가능한 존재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성직자, 의사 또는 철학자가 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답은 나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논평의 형태가 아니라, 내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비록 그것이 내가 이미 내린 결정의 확인일 뿐일지라도 말이다. 하이데거는 다자인은 모든 실체 중에서 존재하거나 존재한다고 말함으로써 이 특별한 특징을 나타낸다. 동사 existieren과 명사 Existenz는 영어에서 'tostand'와 'standing'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Dasein은 다른어떤 존재도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존재 방식을 창조하면서 눈에 띈다. 이러한 Dasein의 특징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다른 실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Heidegger는 Dasein의 존재(BT, 44)의 기본적인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카테고리'에 대해 말하는 대신'실존 인물'(Existenzialien)을 말한다.

다자인이 '무엇','재산'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전적으로 '가능성'에 포함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이 과장이 아닌가? 성직자, 의사, 철학자가 되기엔 너무 바보 같을 수도 있어. 나는 어쩔 수 없이 대머리가 될 수도 있다. 내 선택에 의한 것도 아니고 내 머리를 다시 기를 가능성도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인간들은 다른 생물체들과 확연히 다른 생물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그들은 그것을 바꿀 수 있는 제한된 가능성만을 가지고 있다. 일부 철학자들은 인간의 독특한 본성을 합리성에서 찾아 왔고, 인간을 합리적인 동물로 정의했다. 하이데거는 이것을 거부하지만, 그는 다자인이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 내 선택은 제한된다.'실존성은 항상 사실성에 의해 결정된다.'(BT, 192) 하지만 저의 상황은 결코 단순한 '현재 재산'이 아닙니다. 나는 항상 다양한 방법으로 대답할 수 있다. 만약 내가 대머리가 된다면, 나는 내가 대머리라는 것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할 수도 있고, 머리 숱이 많다고 계속해서 주장할 수도 있고, 대머리에 빠져 절망에 빠질 수도 있고, 가발을 쓸 수도 있고, 그냥 무시할 수도 있고, 아니면 기꺼이 대머리를 받아들이고, 과시하고, 아마도 그것을 사랑하는 배우로서의 경력의 기반으로 만들 것이다. 내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내 대머리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자유롭게 선택한 것이다.